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송광면

지명유래

송광면은 순천의 서부에 위치하고 동쪽은 승주읍과 낙안면, 서쪽은 화순군 남면, 남쪽으로는 외서면과 보성군 문덕면, 북쪽으로는 주암면과 접경하고 있으며 면 경계에 모후산(918.8m), 조계산(884.3m), 고동산(709.4m), 망일봉(652.3m)이 둘러있다.

송광면은 순천시가지에서 서쪽으로 47Km, 광주시에서 동남쪽으로 54Km지점에 위치하며 주암 다목적댐의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면적은 109.79㎢로서 순천시 전체 읍면동에서 가장 큰 면적인 12.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4년 12월 말 현재 877세대에 1,72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남자는 880명, 여자는 841명이 있다.

송광면은 마한시대에는 낙안면에 도읍을 둔 신분활국에 편입되었다가 백제시대에는 현 주암면 창촌에 소재한 감평군 둔지현에 편입되었다하며 통일신라 경덕왕 16년에 둔지현이 부 유현으로 되었다. 그후 고려 성종14년에 승평군 부유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정종2년에 부유현이 이촌부곡과 가음부곡으로 분할되었는데 현재의 송광면 지역은 이촌부곡에 속하 였다고 한다. 1875년경 부터는 순천군 송광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49년 8월 15일 순천읍이 시로 승격 될 때 승주군 송광면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는 순천시와 승주군이 통합됨으로써 현재의 순천시 송광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보성군 문덕면 한천리가 송광면에 편입되어 우산리라고 하였다. 송광면은 조선말기까지는 낙수리에 면소재지가 있었는데 1940년 대곡리로 옮겼고 1978년 4월에 다시 우산리로 1987년 6월 28일 현재의 이읍리로 이설하였다.

송광면에는 오봉, 신흥, 신평, 낙수, 삼청, 후곡, 월산, 대곡, 우산, 덕산, 봉산, 이읍, 장안, 구룡, 대흥 이렇게 15개리가 있으며 자연마을은 28개이다.

송광면에는 국내 삼보사찰중의 하나인 송광사와 주암호, 쌍향수, 고인돌공원등 많은 관광지가있어 사계절 관광객이 끊이지 않고 있다. 관내의 주요기관은 파출소, 우체국, 농협, 승남중학교, 송광초등학교가 있다.

마을유래

오봉리 옥령마을

1486년경 우편의 안올치(내오)에 옥천조씨 집성촌이 있었고 좌편으로는 밧올치(외오)에는 김해김씨 집성촌으로 2개마을이 살고 있었는데 1680년경 외오마을이 없어지고 최초로 터를 잡은 평산신씨 중용과 충주지씨 덕수와 김해김씨 명안 등이 그 중간지점에 중촌이란 마을을 세워 불러왔으나 1962년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마을이름을 옥령이라 하였다. 주암댐조성으로 인하여 현재의 자리에 집단이주단지를 조성하여 살고 있으며 주암면과 송광면의 경계마을이다.

신흥리 신흥마을

해발 78m의 평야마을인 신흥이 수몰되어 타처로 이주하고 새로 난 국도27호선 길가에 20여 호가 새로 형성되었고 마을 동쪽 조계산 기슭에 도자기 공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신평리 외송마을

서기 1000년경 길상사가 이름을 송광사로 바꿀 무렵 송광사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불당이란 곳에 마을을 이루고 살았는데 사람 다니기가 불편하여 1890년경 교통이 편리한 현 마을로 옮겨 살게 되었고 마을이름을 송광사 밖에 있다하여 외송이라 불리게 되었다 하며 행정상으로 처음에 평촌리에 소속되어 있는 자연마을 이었는데 1989년 2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송리로 승격되었다.

신평리 평촌마을

1210년경 남평문씨가 마을을 이루었고 해주최씨 청풍김씨 김해김씨가 차례로 들어와 살았으며 처음부터 평촌이라 했다. 주암댐이 조성되면서 송광초등학교가 낙수에서 평촌으로 옮겨왔으며(폐교) 국도27호선이 마을위로 개통되면서 도로변 주위에 새로운 가옥이 들어섰다.

삼청리 유경마을

1635년 홍건적이 침공하여 난을 피하기 위해 공민왕이 왕비와 함께 본동 모후산록에 위치한 왕대리에 잠시 피했다는 전설에 따라서 왕이 머물렀다는 데서 본 동명을 유경이라 칭한다. 지금으로부터 1650년경 광산김씨 고령신씨 장수황씨 등이 살았다고 하나 연대와 사적은 알 수 없고 그들의 선산만이 남아있다.

삼청리 왕대마을

해발 246m에 위치하며 1310년 남양홍씨와 밀양박씨가 들어와 취락을 이루었으며 공민왕 10년 홍건적이 침공하자 하순군 동북면에 살고 있는 김령김씨 김도의 아내도 왕대마을에서 약50km 떨어진 모후산 골짜기로 피신하였는데 이 골짜기를 왕대라 부르고 있으며 모후산 원래 이름은 나복산인데 공민왕이 가면서 어머니와 같은 은혜로운 산이라 하여 모후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일제시대에 유경과 왕대를 합하여 물 맑고 달 밝고 바람 시원하다하여 삼청이라 하여 오늘에 이른다.

후곡리 후곡마을

해발 238m의 산간마을로 1486년경 마을에 처음 들어온 성씨는 달성서씨와 하동정씨이고 전주이씨,김해김씨,진주하씨,청주한씨,신창표씨는 중간에 들어왔다. 모후산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후산 밑이 되므로 모후실, 또는 무후곡, 후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곡리 신풍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후곡리라 하였다.

월산리 추동마을

우리말로 가래정굴 개래굴이다. 가래나무 정자가 있는 골짜기란 뜻으로 불렀다고 한다. 주암댐 건설로 인해 마을위로 댐주변 우회도로가 생기면서 주위에 띄엄띄엄 가옥이 들어서 촌락을 형성 월산리 추동이라 부른다.

우산리 외우마을

해발 250m의 산간오지마을로 1515여년경에 진주하씨가 처음 들어왔고 그 후 약 510여년 전에 경주이씨 장수황씨가 들어와 살았으며 보성군 문덕면 경계에 있는 마을로 앞에 망일봉이 가로막고 있으며 노루가 뛰노는 형국이라 하여 안노루산이라고 불러왔다. 1973년 7월 1일로 보성군 문덕면 한천마을로 우산리 외우마을로 부르게 되었으며 수몰로 인해 국도15호선 근처에 10여가구가 새로 정착마을을 이루었다.

우산리 내우마을

주암댐 수몰로 인해 새로 조성된 아주단지 마을이다. 마을앞에 고인돌이 있어 문화유적의 산 교육장이 되어 있으며 주위에 죽산안씨 사당과 빙월정이 있으며 앞으로는 국도 15호선이 통과한다.

우산리 곡천마을

지금으로부터 1500년경 목천장씨에 의하여 설촌되었다고함. 1973년 7월 1일자로 보성군 문덕면 한천리가 승주군 송광면 우산리로 행정구역 개편될 때 마을이름을 우산리 곡천으로 부르게 되었음. 1988년 주암댐 완공으로 주거지는 침수되고 마을위로 국도15호선이 통과함으로써 도로 근처로 6세대가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다. 도로 아래로 진주강씨 효자문이 유적으로 남아있다.

봉산리 신곡천마을

주암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민 이주단지로 조성되었으며, 송광사, 광주, 벌교로 가는 3거리 마을로 직행 정류소가 있다(국도 15호선 및 27호선 교차). 민물 매운탕이 유명하여 각지에서 찾아오는 곳으로 광주쪽 곡천교옆에 수몰민의 망향의 한을 달래주는 망향각이 있다.

봉산리 산척마을

해발 175m의 산간마을이며 지금으로부터 1710여년전에 부운이라는 도사가 처음으로 마을이름을 산자골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척리와 봉천을 병합하여 봉산리라 한다. 마을앞에 수령 460년된 느티나무가 있고 송광에서 제일 시원한 곳이다.

덕산리 죽산마을

지금으로부터 320년 전인 이조 초기 1680년경 수몰된 도로변에 마을을 형성하고 주물을 만들고 살면서 밀양박씨 후손인 박우삼이 무등정이라 이름을 지었는데 노변촌이라 경시하는 풍조가 생겨 160년전 여양진씨가 현위치로 마을을 옮기면서 신촌이라 부르게 되었고 1911년부터 죽산이라 부른다.

덕산리 덕동마을

지금부터 약314년 전인 1686년경 목천장씨라는 사람이 지금의 마을앞 장자에서 터를 잡고 살아오던 중 그 후손인 장영희의 할아버지가 그 당시 나무가 울창한 지금의 마을로 터를 옮겨 정착하였다. 마을앞 원래 이름은 덕골이라 하였으나 덕골이라 부르기 곤란하였다 하여 1911년부터는 덕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읍리 신정마을

1987년 주암댐 건설로 인해 이주단지로 설촌된 마을이다. 송광면 소재지가 있는 마을로 상가을 이루고 있으며 국도 15호선이 통과하고 마을 뒤엔 체육공원이 있어 면민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있으며 면사무소, 농협, 우체국, 파출소, 중대본부 등 유관기관과 5일시장인 송광시장이 위치한 면내 중심지이다.

이읍리 이읍마을

해발 116m에 위치하며 초계최씨 최우성이 설촌하였고 최씨는 원래 광양군 봉강면에서 살다가 선조 최산두가 천자암에 머물면서 산수 수려함을 시로 읖으면서 이곳을 찾아 살게 되었다고 합니다. 천자암에서 흐르는 물이 마을앞을 흐르는 송광천과 합류된 것이 마치 마을이 물로 둘러 싸여 있는 배 모양이라 하여 배골 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1210년경 고려시대에 여진금국 장종 왕비의 셋째아들 삼정국사가 송광사 천자암에 머무를 때에 마을의 생김새를 살려 보다가 도읍지가 되겠다고 예언하면서 마을이름을 이읍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이읍리 상이읍마을

해발 200m의 산기슭에 있다. 원래 이읍이라 고려조 제15대 숙종때인 1097년경에 창녕성씨 형제가 터를 잡아 마을을 이루었다고 함. 1925년 왜정시 토지 세부측량을 하면서부터 행정단위를 상이읍이라 불렀음. 마을에서 동북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천연기년물 88호인 쌍향수가 있다.

이읍리 인덕마을

1880년경 밀양박씨가 설촌하였는데마을명을 몽종골이라 하다가 한일합병 이후 인덕이라 마을병을 개칭하였다. 송광초등학교와 승남중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장안리 장동마을

해발 123m의 평거마을로 1945년 4월 장안화재로 인하여 현 위치에 자리하여 설촌하였고 국도15호선이 마을앞으로 지나가며 표고, 더덕 등 을 재배하여 고소득을 올리고 있는 마을이다.

장안리 월은마을

해발 172m의 산간마을로 산나물재배(취나물, 참, 도라지, 더덕)로 고소득을 올리고 있는 마을이며 고려중기 신종원년 약1100경 전주최씨가 무신난때 이곳으로 피난하여 설촌하였다고 함. 전에는 월산이라 하였으나 1970년경 앞산이 높아 달이 숨은 형상의 마을이라 하여 월은이라 함.

장안리 장안마을

해발 195m의 산간마을로 1109년경 고려때 평안신씨가 마을을 이룩하였는데 뒤에 경주김씨와 광산김씨가 살았다고 하며 1200년경 여진금국 장정왕비의 셋째아들 담당국사가 천자암에 머물렀다하여 서울 장안이라 하였다 한다. 1935년 정동사숙이라는 사설학원을 12회까지 운영하다가 이읍국민학교가 설립되어 1943년 학교 문을 닫았으며 원인모를 불로 141호중 138호가 불에 탔으며 마을 동북쪽으로 9km지점에 배바위가 있으며 보리밥집이 산중의 이정표로 유명 등산객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구룡리 영봉마을

자금부터 약265년전 조선조 영조때 대흥리에서 창년조씨가 설촌하였으며 마을동쪽 약1km 떨어진 곳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동서남북 등에 다섯 형상의 용이 보인다 하여 오룡이라 하였고 지금도 마을의 역사와 같이한 조선조 영조때에 지었다는 유일한 고가가 보존되고 있다.

구룡리 오룡마을

자금부터 약265년전 조선조 영조때 대흥리에서 창년조씨가 설촌하였으며 마을동쪽 약1km 떨어진 곳에서 마을을 바라보면 동서남북 등에 다섯 형상의 용이 보인다 하여 오룡이라 하였고 지금도 마을의 역사와 같이한 조선조 영조때에 지었다는 유일한 고가가 보존되고 있다.

구룡리 구표마을

지금부터 약 407년전인 서기 1593년 임진왜란 당시 지금의 이읍리에서 초계 최씨인 최성수가 종제인 최성구씨와 귀향하여 피난 왔다하여 귀피실이라 칭하였으며 그후 약100년 뒤인 1693년 조선조 숙종 19년에 화순에서 해주최씨의 세아들중 막내아들이 이곳에 옮겨왔으며 그후 경주정씨 등이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음.

대흥리 효정마을

해발 160m의 마을로 서기 1724년 조선조 영조 원년에 청주한씨 한경욱씨가 마을에 터를 잡아 살았으며 그 후 약50년 뒤에 정조원년 김해김씨, 진주강씨 등이 들어와 마을을 형성 소정지라 하였으나 서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효자마을이란 뜻으로 대흥리 효정이라 하였다.

대흥리 대흥마을

대흥마을은 약 1465년에 황씨가 화전민으로 정착하면서 대황이라 불렀으나 백제시대 대흥사라는 절이 번창하여 대흥으로 고쳐 불렀다. 그후 백제멸망과 함께 절에 빈대가 많아 절을 지금의 해남 대흥사로 옮겼다. 지금도 절터에는 법당골, 부터골, 토기와 등이 있다. 전설도 다른 지역보다 많아 괸돌, 마당평, 질마평, 장군바위, 벅수거리 등이 있고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결과보기

공공누리의 제4유형

[출처표시-비상업적-변경금지]
출처표시/비상업적 이용만 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콘텐츠 담당부서 :
송광면
전화 :/
061-749-8048
콘텐츠 최종 수정일 : /
2018-11-18